본문 바로가기

성능테스트

(39)
[ Loadrunner ] LR부하테스트 중 응답시간이 일부 튀는 현상이 있을 때 확인해볼 사항 현상 : 1. LR부하테스트 시 초기화면 포함한 일부 업무에 대해 응답시간이 75초 튀는 현상 발생 2. 75초는 WAF에서 session idle time에 의해 timeout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였으며 WAF를 제거하고 테스트시에는 해당현상이 발생하지 않음. 3. HTML모드였으며 일부 응답시간이 튀는 url은 고정되어있진 않으나 receive size가 큰 url들에 대해서 해당현상이 발견됨 4. 로그확인 결과 10user로 테스트시에도 1명의 로그에서만 해당현상이 발견되고, 9user, 8user 7user 각각테스트 결과 모두 1user에서만 해당 현상이 발견됨 해결 : Loadrunner 벤더사에 확인 결과 "Web Page Diagnostics"기능을 Disable시키고 해보라는 조언을 ..
[ Loadrunner ] lr_vuser_status_message http://harinderseera.blogspot.com/2011/02/loadrunner-lrvuserstatusmessage.html
[ Jmeter ] Jmeter 부하발생기 연결 참고사이트 : https://velog.io/@leejh9022/Jmeter-%EC%84%A4%EC%B9%98-Jmeter-%EC%9D%B4%EC%9A%A9%ED%95%9C-%EB%B6%80%ED%95%98%ED%85%8C%EC%8A%A4%ED%8A%B8 Jmeter 설치 & Jmeter를 이용한 부하분산테스트 서버 부하테스트를 하는 툴은 시중에 많이 있지만 이번엔 Jmeter를 사용해서 테스트를 실행해보았다. Jmeter는 다른 툴에 비해 다양한 기능과 플러그인이 존재하고 빠른 시나리오 작성이 가능하다. velog.io 2.Jmeter remote Test (부하 분산 테스트) 대용량 부하 분산 테스트를 할 때는 한 대의 부하발생기로는 불가하고, 여러 대의 부하발생기를 병렬로 연결해서 동시에 테스트 해..
[ Loadrunner ] 폐쇠망 자동 인증서 업데이트로 인한 응답시간 지연 문제 현상 : 폐쇠망에서 script작성시에 초기화면 응답시간이 15초이상 소요됨. 피들러로 떠본 결과 아래 url을 먼저 호출하고 있으며 폐쇠망이라 연결이 안되어 지연됨. ctdl.windowsupdate.com/msdownload/update/v3/static/trustedr/en/authrootstl.cab?adbae2055142225b 원인 : 클라이어트가 특정 웹사이트에 https로 접속을 하면 서버로부터 인증서를 전달받게됨.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인증서를 클라이언트 PC에 저장된 신뢰할 수 있는 루트인증서 목록으로 신뢰성 검증을 하게됨. 만약 목록에 없으면 Microsoft windows update 웹사이트에 연결하여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하게 되며 위와 같은 url을 호출하게됨...
[ Scouter ] scouter설치 AWS의 linux기반으로 EC2를 생성하여 Tomcat 및 Scouter를 설치하고, Application을 배포 후 로컬PC에서 Scouter client로 접속해서 사용해 보는 과정 및 Thread dump 및 Heap dump 분석해 보기 * AWS에 TOMCAT 및 Scouter 구성 1. AWS에 linux 설치 - "Amazon Linux 2 AMI (HVM), SSD Volume Type" AMI로 프리웨어로 EC2를 구성하여 linux를 설치 2. JDK 설치 - java-1.8.0-openjdk-devel.x86_64 설치 3. Tomcat 설치 - tomcat8 설치 4. Application배포 5. Scouter Server설치 6. Scouter Server 설정 7. Scout..
[ 부하발생기 ] 노트북 네트워크 병목 50Mbytes파일을 업로드시 노트북의 네트워크가 100Mbps를 치면서 client 병목이 발생했다. 응답시간이 4초 정도 걸렸는데 이는 모두 클라이언트 네트워크 시간으로 보인다. 50Mbytes -> 400M bit이고 400Mbit / 100M bit면 4초이기 때문에 노트북 네트워크 설정에서 구성으로 들어가 고급에서 "속도 및 이중"값을 자동교섭으로 되어있었으나 100Mbps가 한계였다. 왜 100Mbps가 한계인지는 확인 필요 => 노트북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기가빗을 지원하고, 랜선을 기가빗지원하는 랜선으로 바꿨더니 부하발생기 노트북 속도가 1G까지 지원 되었다. 1G처리되는지의 확인은 작업관리자의 성능탭 이더냇(네트워크)에서 모니터링 하였다.
[ Loadrunner ] loadrunner file upload 로드러너 파일 업로드 방식에 세가지가 있다. 1. 파일 내용이 lr_custom_h에 그대로 적히는 방식(적극 추천) - url based의 lr_custom_request only방식으로 레코딩해야한다. - lr_custom_h에 전송할 http request의 body부분이 모두 텍스트로 적히기 때문에, 파일 전체 내용도 적힌다. - upload할 파일이 text파일은 가능 했으나, 파워포인트등의 파일은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음. - 파일내용이 스크립트의 lr_custom_h에 모두 담기기 때문에 별도로 파일을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 lr_custom_h에 적힌 텍스트 형태로 적힌 파일 내용을 줄이고 늘이면서 업로드할 파일 크기를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다. 2. 파일을 스크립트 안에 넣는 방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