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runner ] loadrunner file upload
로드러너 파일 업로드 방식에 세가지가 있다.
1. 파일 내용이 lr_custom_h에 그대로 적히는 방식(적극 추천)
- url based의 lr_custom_request only방식으로 레코딩해야한다.
- lr_custom_h에 전송할 http request의 body부분이 모두 텍스트로 적히기 때문에, 파일 전체 내용도 적힌다.
- upload할 파일이 text파일은 가능 했으나, 파워포인트등의 파일은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음.
- 파일내용이 스크립트의 lr_custom_h에 모두 담기기 때문에 별도로 파일을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
- lr_custom_h에 적힌 텍스트 형태로 적힌 파일 내용을 줄이고 늘이면서 업로드할 파일 크기를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다.
2. 파일을 스크립트 안에 넣는 방식
- 기본 html based로 레코딩
- 파워포인트를 포함한 아무 파일이나 업로드 되었다.
- request body의 filename에 파일이름만 보내야 하는데, 경로까지 같이 기입되는 오류가 있음.
- file=yes, value에 파일 이름만 적는다.(보충 필요)
- 부하 발생기에 동일 경로에 파일이 존재해야 할듯(보충 필요)
3. 파일의 별도 경로를 지정하는 방식
- 기본 html based로 레코딩
- 파워포인트를 포함한 아무 파일이나 업로드 되었다.
- request body의 filename에 파일이름만 보내야 하는데, 경로까지 같이 기입되는 오류가 있음.
- file=yes, value에 파일 이름만 적는다.(보충 필요)
- 부하 발생기에 동일 경로에 파일이 존재해야 할듯(보충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