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의 데이터형 중 List에 대해 생성, 연산, 함수등에 대해 정리하였다. 점프투파이썬 책을 복습하며 정리한 것임..
1. 리스트의 생성
a = []
b = [1, 2, 3]
c = ['Life', 'is', 'too', 'short']
d = [1, 2, 'Life', 'is']
e = [1, 2, ['Life', 'is']]
f = list(range(10)) # 수열 [0,1,2,3,4,5,6,7,8,9]
2. 리스트의 인덱싱
a = [1, 2, ['a', 'b', ['Life', 'is']]]
display(a[1])
display(a[2][1])
display(a[-1]) # -1이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이다.
display(a[-1][0])
display(a[-1][-1][0]) # 3중 리스트에서 인덱싱
print('\n')
3. 리스트의 슬라이싱 : 특이하다 a[x:y]일때 x이상 y미만의 리스트를 반환한다.
a=[1,2,3,4,5,6]
k = a[1:3]
display(k)
print('\n')
4. 리스트의 더하기
a=[1,2,3]
b=[4,5,6]
c=a+b
display(c)
print('\n')
5. 리스트의 반복하기
a=[1,2,3]
b=a*3
display(b)
print('\n')
6. 리스트의 길이구하기
a=[1,2,3]
display(len(a))
print('\n')
7. 리스트의 값 수정하기
a=[1,2,3]
a[2]=5
display(a)
print('\n')
8. 리스트의 요소 삭제하기
a=[1,2,3,4,5,6]
del a[2]
display(a)
a=[1,2,3,4,5,6]
del a[3:]
display(a)
print('\n')
9. 리스트에 요소 추가하기
a=[1,2,3]
a.append(4)
a.append([5,6])
display(a)
print('\n')
10. 리스트 정렬하기
a=[1,4,3,2]
a.sort()
display(a)
print('\n')
11. 리스트 뒤집기
a=['a','b','c']
a.reverse()
display(a)
print('\n')
12. 요소의 위치반환
a=['a','b','c','d']
display(a.index('d'))
print('\n')
13. 특정위치에 요소 삽입하기
a=[1,2,3,4,5]
a.insert(3,'a')
display(a)
print('\n')
14. 리스트에 요소 삭제하기. del은 위치로 삭제하고 remove는 값으로 삭제함
a=[1,2,3,1,2,3]
a.remove(3)
display(a)
a.remove(3)
display(a)
print('\n')
15.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꺼내주고 해당요소를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a=[1,2,3,4,5,6]
display(a.pop())
display(a)
print('\n')
16. 리스트의 X번째 요소를 꺼내주고 해당요소를 리스트에서 삭제한다
a=['a','b','c','d']
display(a.pop(1))
display(a)
print('\n')
17.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개수 세기
a=['a','b','c','a','b','c']
display(a.count('c'))
print('\n')
18 리스트 확장 : +연산과 동일하다
a=[1,2,3]
b=[4,5,6]
a.extend(b)
display(a)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자료형 ] 집합(Set) 관리 (0) | 2019.12.08 |
---|---|
[ Python 자료형 ] Dictionary (0) | 2019.12.08 |
[ Python 자료형 ] Tuple (0) | 2019.12.08 |
[ Python 자료형 ] 문자열 관리 (0) | 2019.12.06 |
django_Virtualenv를 통해 가상한경을 만든뒤, Django 프로젝트 생성하기 (0) | 2019.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