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DK 설치 및 환경변수 설정
2. Tomcat 9버젼 다운로드 및 원하는 디렉토리에 풀기
3. bin 폴더 밑에 startup.bat파일 실행
4. 에러 발생시 logs폴더 밑에 catalina파일 확인
5. startup.bat을 통해 기동시 기동 실패. 로그파일 확인결과 "Connector[HTTP/1.1-8080]을 초기화하지 못했습니다. 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bind" 메세지 확인
- 메세지를 통해 8080port가 이미 사용중으로 기동에 실패하였음을 확인
- conf폴더 밑에 server.xml파일에서 connector포트를 8080에서 8089로 변경해 줌.
6. startup.bat을 통해 기동시 기동 실패. 로그파일 확인결과 "[localhost]와 포트 [8005]에 서버 셧다운 소캣을 생성하지 못했습니다. 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bind" 메세지 확인
- 마찬가지로 8005포트도 기 사용중임을 확인
- Shutdown관련 서버 포트를 8005에서 8090으로 변경
7. 서버 정상기동 확인
8. 로컬에서만 접속가능한 부분을 외부에서 접속가능하도록 설정 수정
- 커맨드창에서 code . 으로 Visual Studio에서 톰켓을 전체 연다.
- webapps>host-manager>META-INF>context.xml의 remoteaddrvalue 부분을 주석처리한다.
- webapps>host-manager>manager>META-INF>context.xml의 remoteaddrvalue 부분을 주석처리한다.
9. %TOMCAT_HOME%\conf\tomcat-user.xml파일 수정
10. Tomcat재기동 후 tomcat계정으로 접속해본다.
- thread 모니터링도 가능해 보인다.
'Lecture > Jenkins를 이용한 CI 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enkins를 이용한 CI/CD ] 02Jenkins를 이용한CI/CD사용_05SSH+DockerVM (0) | 2023.01.02 |
---|---|
[ Jenkins를 이용한 CI/CD ] 02Jenkins를 이용한CI/CD사용_04SetupPollSCM (0) | 2023.01.02 |
[ Jenkins를 이용한 CI/CD ] 02Jenkins를 이용한CI/CD사용_03Tomcat서버 연동 (0) | 2023.01.01 |
[ Jenkins를 이용한 CI/CD ] 02Jenkins를 이용한CI/CD사용_02Git에서 코드가져와 빌드하기 (0) | 2022.12.31 |
[ Jenkins를 이용한 CI/CD ] 02Jenkins를 이용한CI/CD사용_01Maven설정 (0) | 2022.12.31 |